2025년 3월 1일부터 보조배터리의 항공기 기내 반입 규정이 강화되었습니다.
이는 최근 기내에서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화재 사고를 계기로, 국제항공운송협회(IATA) 및 국제민간항공기구(ICAO)의 안전지침을 국내 항공사에 전면 적용한 결과입니다.
특히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"1000Wh가 아니라 100Wh가 기준"이라는 점인데요,
지금부터 바뀐 반입 규정과 단위 변환 공식까지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🧪 보조배터리 용량 단위 정리: Wh 기준 이해하기
항공사에서 사용하는 보조배터리 규정은 Wh(와트시) 단위를 기준으로 합니다.
이는 단순한 용량(mAh)이 아니라, 전압(V)과 전류(Ah)의 곱으로 계산되는 총 에너지량입니다.
항목 | 정의 및 계산식 | 예시 |
---|---|---|
Wh (Watt-hour) | 전력량 = 전압(V) × 전류(Ah) | 3.7V × 20,000mAh(=20Ah) = 74Wh |
100Wh 이하 | 일반 휴대용 보조배터리 대부분 해당 | 약 10,000~27,000mAh |
1000Wh | 전기자전거·드론·산업용 배터리 수준 | 항공 반입 불가 대상 |
✅ 변환 공식:
Wh = (mAh × V) ÷ 1000
예: 20,000mAh × 3.7V ÷ 1000 = 74Wh
📋 2025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요약 (국제 기준 반영)
배터리 용량 | 기내 반입 여부 | 최대 반입 수량 | 승인 필요 여부 |
---|---|---|---|
100Wh 이하 | ✅ 가능 | 최대 5개 | ❌ 불필요 |
100Wh 초과 ~ 160Wh 이하 | ⚠️ 가능 | 최대 2개 | ✅ 사전 승인 필요 |
160Wh 초과 | ❌ 금지 | 반입 불가 | N/A |
📌 대한항공, 아시아나항공, 제주항공 등 국내 항공사 전체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📌 국제선 이용 시에는 탑승 항공사 및 도착 국가의 규정을 반드시 별도 확인해야 합니다.
🧳 보조배터리는 ‘기내 반입 전용’입니다
- ✅ 반입 위치: 개인용 가방 또는 좌석 아래
- ❌ 금지 위치: 기내 선반(오버헤드빈), 위탁 수하물(캐리어)
리튬이온 배터리는 위탁수하물에 절대 허용되지 않으며, 기내에서만 반입 가능해야 합니다.
🧰 포장 및 보관 시 유의사항
1. 단자 절연 보호
- 배터리 단자가 금속에 닿지 않도록
- 절연 테이프 또는 지퍼백, 배터리 파우치 등 개별 포장 필수
2. 정해진 위치에 보관
- 좌석 아래 또는 손가방 안에 보관
- 기내 선반에는 보관 금지
⚠️ 기내 사용 및 이상 징후 시 대처 요령
-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직접 충전하는 행위는 금지
- 과열, 부풀음, 냄새 발생 등 이상 징후 시 즉시 승무원에게 알리기
✅ 출발 전 확인 체크리스트
- [ ] 보조배터리의 Wh 용량 확인
- [ ] 반입 수량 제한 확인 (100Wh 이하는 5개, 초과 시 2개)
- [ ] 절연 포장 또는 파우치 준비
- [ ] 기내 수하물에 보관 여부 점검
- [ ]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여부 확인
💼 마무리 Tip: “내 보조배터리, 지금 확인하세요”
항공 보안 기준은 해마다 강화되고 있으며, 리튬이온 배터리는 잠재적 위험요소로 분류됩니다.
여행 전, 보조배터리의 용량과 상태를 반드시 확인하고, 항공사의 최신 반입 규정을 숙지하세요.
안전하고 쾌적한 비행을 위한 필수 준비,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.